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7

질병으로 퇴사하게 되면, 실업급여 받을수 있는지? 퇴사를 하는 사유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직을 위해서, 질병으로 아프거나, 멀리 이사를 가게 되거나, 혹은 회사의 권유로 퇴사를 하는 경유가 있습니다. 질병으로 아파서 퇴사를 하게 되는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아 확인했습니다. * 살펴볼 내용 * 1. 실업급여 지급 대상자 2. 질병 퇴사 실업급여 여부 3. 질병 퇴사 판단 기준 기본적으로 질병으로 자진퇴사하는 경우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다만,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있어 고용노동부 확인된 내용으로 정리하겠습니다. 잠깐, 권고사직, 자진퇴사 실업급여 조건부터 확인해 보세요 권고사직 실여급여, 자진퇴사 실업급여 조건 정리( + 고용노동부)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따로 있습니다. 어떠한 사유로 인해.. 2023. 7. 27.
2024년 최저시급 최저임금 9,860원 발표, 연봉별 실수령액 확인 2024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 원을 넘기는지가 최대의 관심사였는데 결과는 2024년 최저임금은 시급 9,860원으로 정해졌습니다. 최저임금 결정은 근로자도 그렇고 소상공인에게도 중요한 결정이 아닐 수 없습니다. * 살펴볼 내용 * 1. 2024년 최저임금 결정 2. 2024년 연봉별 실수령액 3. 주휴수당 폐지여부 2024년 최저시급은 9,860원으로 2023년 대비 2.5% 인상률입니다. 월급여로 환산하면 주 40시간 월 209시간을 기준으로 월 2,060,740원이 됩니다. 잠깐, 2023년 최저임금도 같이 비교해 보세요. 2023년 최저임금, 주휴수당 폐지 여부 확인 ▲ 2023년 최저임금, 주휴수당 폐지 여부 확인 근로자에 대해 임금의 최저 수준을 보장해서 근로자의 안정된 생활과 노동력의 질적.. 2023. 7. 20.
권고사직 실여급여, 자진퇴사 실업급여 조건 정리( + 고용노동부)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따로 있습니다. 어떠한 사유로 인해 퇴사를 해야 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퇴사를 했다고 해서 무조건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기에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자료로 권고사직과 자진퇴사의 경우로 실업급여 대상이 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 살펴볼 내용 * 1. 실업급여란 2. 권고사직 실업급여 여부 3. 자진퇴사 실업급여 여부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기본적인 조건이 있습니다. '회사에서 권고사직을 통보받으셨나요?' '회사에 자발적으로 퇴사하겠다고 통보하셨나요?' 이렇게 퇴사하는 조건이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 실업급여 대상이 될 수 있는 조건이 달라지니 끝까지 읽어보시고 해고수당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같이 확인해 보겠습니다. 잠깐, 실업급여란 무엇인지 자세히 정리한.. 2023. 7. 19.
재산세 카드 납부 혜택 (+ 신한, 롯데, 국민, 우리카드) 매년 7월, 9월은 재산세를 납부해야 되는 기간입니다. 재산세는 기본적으로 토지나 주택 등의 소유한 재산에 부과되는 조세입니다. 과세기준이 되는 6월 1일에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는 분들은 기본적으로 '재산세 납부' 대상이 됩니다. 7월에 납부해야 되는 재산세의 카드납부로 받을 수 있는 혜택에 대해서 카드사 별로 정리하겠습니다. * 살펴볼 내용 * 1. 재산세 간략 정리 2. 재산세 카드 납부 혜택 정리 ① 신한카드 혜택 ② 롯데카드 혜택 ③ 국민카드 혜택 ④ 우리카드 혜택 ⑤ 카드 할부 무이자 혜택 재산세 납부가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납부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재산세 납부는 고지서 납부, 가상계좌 납부, ATM 납부, 인터넷 납부등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이중에.. 2023. 7. 18.
재산세 납부기간, 부과기준 , 7월 납부 가산세 총정리 7월이면 재산세 납부 일정이 있습니다.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를 보유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납부해야 되는 지방세입니다. 재산세 납부기간, 부과기준, 미납에 따른 가산세도 같이 한 번에 정리하겠습니다. * 살펴볼 내용 * 1. 재산세란 2. 재산세 납부기간 3. 주택 재산세 과세기준 4. 재산세 납부방법 5. 재산세 미납 가산금(분납제도) 7월에 납부하는 재산세는 일반적으로 건축물, 주택에 해당하는 분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항목별로 납부기한이 있어 이 또한 같이 확인해 보겠습니다. 잠깐, 자동차세도 절세가 가능합니다. 확인해 보세요. 자동차세 - 6월, 12월 납부하거나 연납 신청방법 및 절세혜택 ▲ 자동차세 연납 신청방법과 절세혜택 확인 자동차를 소유하게 되면 누구나 매년 자동차.. 2023. 7. 17.
알뜰교통카드 신한카드 신청, 혜택 비교 (신용, 체크카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로 '교통비를 30% 절감'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마일리지 적립과 더불어 카드사용으로 다양한 혜택까지 누릴 수 있습니다. 신한카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신청방법,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각각 혜태까지 자세히 정리하겠습니다. * 살펴볼 내용 * 1.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란 2. 신한카드 알뜰교통카드 혜택 ① 신용카드 혜택 ② 체크카드 혜택 3. 신한카드 알뜰교통카드 발급방법 알뜰교통카드 처음 시행 이후 꾸준히 이용자가 늘고 있고 2023년 7월 1일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로 매월 최대 66,000원까지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마일리지 적립하는 방법은 미리 확인해 보세요. 알뜰교통카드 사용법, 마일리지 적립방법, 교통비 절약 꿀팁 .. 2023. 7. 14.